5. 시각과 미각 

5. 시각과 미각 


하나의 미적 대상은 다만 하나의 순수한 시각의 대상으로만 존재하지는 않는다. 

꽃이나 책상은 색채와 형태로 이루어져 있지만, 한편으로 그것은 풀과 나무로 되어 있기도 하다. 미적 대상에서 느끼게 되는 시각적 의미는 이와 같이 다른 어떠한 경험에서 유래되는 의미와 결합되어 있다. 한 개의 과자를 진실로 아름답게 보는 사람은 거기에서 향기와 맛을 추구하지 않는다. 색채와 형태만이 그것을 아름답게 보는 기준이 될 것이다.

우리들의 미의식이 색과 형태 이외의 것으로 이동할 때 우리는 이미 그 사물을 순수하게 보려는 태도에서 벗어난다. 과자가 심미의 대상에서 식욕의 대상으로 옮아갔을 때는 우리는 시각이 아니라 미각을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시각적 대상에 미각적 충동이 끼어드는 순간 과자에 포함된 특수한 미각의 의미가 시작되는 것이다. 그것은 과거의 경험에 의한 기억으로서의 미각적 입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뜻한다. 한 개의 과자를 보고 먹고 싶어 하는 욕구는 색과 형태의 아름다움을 떠나 다른 의미를 의식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예술과 풍토, 변시지>

🧭 시군

“영국 철학자들은 ‘맛(taste)’을 미적 판단의 비유로 썼고, 요즘은 색과 맛이 서로 영향을 준다는 공감각 연구도 많아요. 그렇다면 우리가 눈으로 본 색과 형태가 입안의 ‘맛’까지 좌우할 수 있을까요?”

🍃 지양

“동양에서는 차를 마실 때 색·향·기운을 함께 음미하죠. ‘맛’과 ‘아름다움’은 따로가 아니라 한 덩어리로 느끼는 거예요. 그렇다면 진짜 미감은 입·코·눈·마음이 함께 열릴 때 완성되는 건 아닐까요?”

🌿 시지의 대답

눈은 색을 보고, 입은 맛을 느끼지만 결국 감각은 마음 안에서 하나로 연결됩니다. 프랑스 요리는 접시 위 색으로 입맛을 자극하고, 동양의 다도는 그릇 색으로 맛을 예고하죠. 시각이 맛을 짜고, 미각이 색을 기억하는 순간—바로 그때 진짜 감각의 예술이 열립니다.


👥 대상별 조언

🎓 학생에게

“빨간 딸기 사진을 보면 침이 고인 적 있죠? 뇌가 색과 맛을 연결하기 때문이에요. 그림을 볼 때 ‘이건 무슨 맛일까?’ 상상해 보세요. 감상이 더 재밌어집니다.”

👥 일반인에게

“노을을 보면 홍차가 생각나고, 바다를 보면 소금 맛이 떠오르죠? 감각이 겹칠 때 삶이 더 풍성해집니다. 작품을 볼 때도 눈·입·기억을 함께 열어보세요.”

🖼️ 컬렉터에게

“정물화를 볼 때 과일의 색이 불러오는 단맛·신맛·향까지 떠올려 보세요. 이런 ‘보이는 맛’이 컬렉션의 분위기를 풍부하게 만듭니다.”

🎨 화가 지망생에게

“색을 쓰기 전, 그 대상의 맛·향·촉감을 먼저 떠올려 보세요. 변시지 화백은 제주 황토를 씹어보듯 연구하고, 바람의 소금기를 먹선으로 표현했어요. 미각 기억이 색으로 살아날 수 있습니다.”


🌀 변시지의 사례

  〈찻잔과 사과〉

도쿄 시절: 사과 껍질의 짭짤한 빛, 청자잔의 담백한 색으로 ‘맛을 느끼는 색’을 실험.

제주 시기: 황토의 흙맛, 바람의 염분을 색으로 표현해 관객이 눈으로 보고도 입과 코까지 반응하도록 유도.

👉 그는 미를 단지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맛보고 기억하고 공감하는 전방위 감각 예술로 확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