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반 조형, 반 미학
|
근대미술의 여러 동향 중에서 중요시되지 않았던 것들이 현대미술에서는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기성의 형식이나 가치를 부정하는 새로운 이슈가 '전위미술'이라는 이름을 띠고 등장하기도 했다. 오늘의 현대미술은 따라서 과거의 미술에 대한 반성과 회의적 태도에 그 기본성격이 놓일 수 있으며, 그 양상은 한마디로 비개성주의 내지는 예술과 비예술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유럽이나 미국에서의 추상표현주의나 1960년대의 액션 페인팅 또는 팝 아트 따위가 그것이다. 현대미술의 동향은 매우 다기다양해서 한마디로 말할 수 없지만, 한 예로서 해프닝과 같은 것은 회화나 조각의 형식을 완전히 벗어난 현상을 내보이고 있다. 무엇을 어떻게 그리느냐는 조형의 문제보다는 그린다는 행위는 무엇인가, 그것이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하는 근원적인 물음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해프닝의 경우는 회화나 조각의 형식을 탈피하여 새로운 형식을 탐구하려는 것보다는 예술행위의 근본문제에 대한 반성적 의미가 강한 것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들어서면 예술은 인간 전체를 문제삼으려는 의욕이 뿌리를 내리게 된다. 형식화되고 세부화되어 버린 예술양식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과 새로운 모색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현대미술의 선구자격인 뒤샹과 슈비터스의 태도와 입장은 다소간의 차이가 있었다. 뒤샹이 가능한 한 무관심성의 태도를 보였다면, 슈비터스는 예술과 비예술의 구별을 제거하려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오늘의 현대미술은 이같이 양쪽의 사상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그러면서도 현대미술의 밑바닥에 흐르는 것은 반조형주의(反造形主義) 또는 반미학주의(反美學主義)이다. 이리하여 미술관의 작품이 밖으로 이탈, 야외 전시장을 가지는 현상이 생겼고, 작품도 소재를 구성하여 그리기보다 일시적으로 배열하는 동향을 보인다. 작가들은 작품을 남기려 하기보다는 그것을 해체하려 한 것이었다. <예술과 풍토, 변시지> |
🧭 시군
“뒤샹은 변기를 전시했고, 잭슨 폴록은 물감을 흩뿌리며 그렸어요. 해프닝·팝아트·플럭서스 등은 작품보다 행위와 개념을 중요하게 여겼죠. 그렇다면 현대미술은 조형을 거부하고, 예술을 질문 그 자체로 바꾸려 한 걸까요?”
🍃 지양
“동양 선화에서는 ‘무법이 곧 대법’, 즉 형식이 없을수록 더 깊은 예술이 된다고 했죠. 와비·사비 미학도 깨짐·부족함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았습니다.
그렇다면 동양에서도 **형식을 해체하면서 본질을 찾는 ‘반미학’**이 오래전부터 있었던 것 아닐까요?”
🌿 시지의 대답
20세기 현대미술은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형식, 재료, 미적 기준을 해체하며 예술의 경계, 역할, 존재 방식 자체를 흔들었죠. 동양은 이미 오래전부터 완성보다 비움, 침묵, 파괴 속 진실을 강조해 왔습니다.
👉 반 조형은 형식의 거부가 아니라, 예술이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가에 대한 실험이었고, 반 미학은 아름다움의 본질을 형식 바깥에서 다시 찾으려는 시도였습니다.
👥 대상별 조언
🎓 학생에게
“종이를 구기거나 찢은 후, 그 자국을 따라 즉흥 드로잉을 해보세요.
‘망가짐’이 새로운 형상을 낳는 창작 실험이 됩니다.”
👥 일반인에게
“폐품을 전시장에 놓은 작품을 보며 ‘이게 예술인가?’ 싶을 수 있어요.
하지만 그 물음 자체가 작가의 의도일 수 있어요. 예술을 보는 눈을 깨우는 장치인 거죠.”
🖼️ 컬렉터에게
“찢김, 부식, 해체된 오브제는시간에 따라 변하면서 새로운 의미 층위를 만들어냅니다.
이런 작품은 정적인 오브젝트가 아닌, 시간과 함께 사는 예술입니다.”
🎨 화가 지망생에게
“붓질이 잘 안 풀릴 때, 과감히 캔버스를 찢거나 태워보세요. ‘예술은 태우고 나서 시작된다’는 걸 깨달을겁니다.”
🌀 변시지의 사례
변시지에게 형식은 벗어야 할 껍질, 불완성은 예술이 숨 쉬는 틈이었습니다. 그는 ‘조형’과 함께 바람, 재, 여백 같은 비물질의 미학으로 이동한 작가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