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선(線)을 배워라
|
물항아리를 어깨 위에 얹고 물가에 서 있는 젊은 여인의 나체상 “샘”은 앵그르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이상적인 신체적 균형과 하얗고 투명한 피부색, 달콤하고 정겨운 표정은 이 나부의 청정한 느낌을 더해 준다. 들라크루아가 색채에 의해서였다면, 앵그르는 형태에 의해 그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룬 사람이었다. 형태에 대한 앵그르의 기본 정신은 다음과 같은 진술에 잘 나타나 있다. "진실에 의해서 아름다움의 비밀을 발견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고전은 창작된 것이 아니라 아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그는 다음과 같이 가르쳤다."모델에 대해서는 크기의 관계를 잘 살펴보라. 거기에는 전체의 성격이 있다. 선 또는 형태는 단순하면 할수록 아름다운 힘이 있는 것이다. 여러분이 그것을 분할하면 할수록 그만큼 아름다움에 약해진다. 왜 사람들은 더 큰 성격을 잡아내지 못하는가. 이유는 간단하다. 하나의 큰 형태 대신에 세 개의 작은 형태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앵그르는 안정된 구도 속의 운동을 파악하여 그것을 성격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실제로 그의 유명한 〈그랑드 오달리스크〉는 드러누워 있는 나체 형태의 율동미를 강조하기 위해 의식적인 일종의 데포르마시옹을 가하고 있는 것이다. 드가가 소년시절에 보고 반했다는 〈목욕하는 여인〉에서는 완전히 관중에게 등을 돌리고 얼굴 표정을 감추고 있는 한 여인의 나체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형태에 대한 앵그르의 미학적 기준을 잘 보여준 예다. 이 작품은 루브르 박물관에 들어간 다음에도 형태의 단순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의구심을 자아내게 했다. 오늘의 추상주의를 앵그르는 이미 그때 우리에게 예언하고 있었던 것이다. 마치 들라크루아가 색조분할에서 인상파의 선구가 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선(線)을 공부하게. 그러면 자네는 훌륭한 화가가 될 것이야."청년 드가에게 앵그르는 이렇게 충고해 주었다. 앵그르의 이러한 회화적 정신은 우선 드가에 의해 계승되었고 인상파에 깊은 영향을 끼친 것이다. <예술과 풍토, 변시지> |
🧭 시군
“르네상스 이후 서양 화가는 선으로 형태를 정밀하게 묘사했어요.잉그레스는 ‘단순한 선일수록 아름답다’고 했고, 드가는 선을 보는 법이 곧 회화다라고 말했죠.
그렇다면 서양 미술에서 선은 단지 외곽선이 아니라, 이성적 구조와 리듬을 만드는 언어일까요?”
🍃 지양
“동양에서는 ‘선 하나에 기운(氣)이 담긴다’고 하며, 붓의 한 획을 매우 중시했어요.그렇다면 동양에서 선은 형태를 넘어서 정신과 생명을 담는 수행의 흔적인 걸까요?”
🌿 시지의 대답
‘선’은 단순한 윤곽이 아니라,눈이 지나간 길이자 마음이 스친 자국입니다.서양은 선으로 구도·비례·운동을 설계했고,
동양은 선 하나에 기운·시간·정신을 불어넣었습니다.
👉 좋은 선은 **정확함(骨)**과 **생동(氣)**이 함께 살아 있어야 하며, 딱 떨어지되 떨림이 남는 선이 진짜 예술의 선입니다.
👥 대상별 조언
🎓 학생에게
“자를 대고 반듯한 선을 그어 본 뒤, 손으로 숨 쉬듯 흔들리는 선도 그려 보세요.두 선을 비교하면 ‘정확함’과 ‘생동감’이 어떻게 다른지 몸으로 느낄 수 있어요.”
👥 일반인에게
“도시의 전봇대처럼 똑바른 선과, 바람에 흔들리는 빨래줄 같은 선은 감정이 다르죠.
일상에서 선의 느낌을 관찰하면, 보는 눈이 더 섬세해집니다.”
🖼️ 컬렉터에게
“드로잉, 판화, 회화를 볼 때 선의 힘과 성격을 유심히 보세요.힘주어 끊긴 선과 부드럽게 이어진 선은 서로 다른 정서와 긴장을 공간에 불어넣습니다.”
🎨 화가 지망생에게
“드로잉 전에 서예 붓으로 ‘一’자를 다양한 속도·굵기로 그려 보세요.
손목→어깨→호흡으로 선이 커질 때, 선은 기술이 아니라 몸 전체로 흐르는 기운이 됩니다.변시지 화백도 황토 위에 한 획의 먹선으로 시간·바람·정서를 담았습니다.”
🌀 변시지의 사례
황색+먹색 한 획 연작 : 넓은 황토 면 위에 단 한 줄의 먹선을 그어 섬 바람의 방향과 속도, 시간의 흐름을 암시.
〈돌담과 바람〉- 거친 돌담을 단순한 윤곽선으로 정리해 질서를 세우고,그 위에 자유로운 붓의 흔들림으로 생동을 더해 ‘선의 두 얼굴’—정확함과 떨림을 동시에 표현.
👉 변시지에게 선은 단지 형태의 경계가 아니라 기억과 감정이 흘러가는 통로, 바람이 지나간 흔적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