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작품을 아는 것과 맛보는 것
|
요즘은 미술관이 많이 늘어나고 전시회가 많아져서 감상자들로서는 여간 다행한 일이 아니다. 과거와는 달리 수많은 개인전, 그룹전, 교류전, 초대전, 공모전 따위의 전시회가 열리고, 각 대학마다 예술계열의 학과가 늘어나 미술을 공부할 기회도 많아졌다. 또한 후원회나 공공기관의 지원으로 첨단시설을 자랑하는 전시공간이나 예술공연장도 들어서고 있다. 그러나 전시회가 많아졌다는 것과 그것을 감상하는 일 사이에는 늘 그렇게 화해로운 관계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작품을 자주 대할 수 있어서 좋지만 너무 자주 대하기 때문에 그것을 소홀히 하거나 쉽게 지나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감상의 기회가 너무 쉽게 주어지기 때문인지, 그것을 감상하는 사람들의 태도가 다소 반복적이거나 습관적인 것으로 보일 때가 많다. 작가의 정열과 고뇌와 정신의 산물인 작품은 아무래도 힘들게, 고심하면서, 그리고 생각하면서 즐기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감상이다. 출판인쇄가 발달하고 전시의 기회가 많아져 고금의 작품들을 다시 접할 수 있고 그에 관한 이론도 쉽게 읽을 수 있다. 그러나 무엇을 '안다'고 하는 것과 무엇을 '맛본다'고 하는 것은 별도의 문제이다. 예술작품은 그것을 이해하기 이전에 무엇을 느낄 수 있어야 하며, 내용을 의식하기 전에 거기에 감동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미술작품의 감상은 감상자의 순수하고 선입견 없는 마음의 자세가 전제되어야 한다. 지식이나 편견은 작품을 올바로 보는 것을 방해한다. 상을 탄 작품이나 이름난 작가의 작품에만 매달리거나 팸플릿에 인쇄된 평론가의 해설에서 그 의미를 찾으려는 태도는 작품을 주체적으로 보려는 사람의 태도가 아니다. 미적 감동이란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고 직접 그 회화나 조각의 기법을 통해 자신이 스스로 느끼는 것이다.가끔 쿠르베나 세잔의 그림은 이해할 수 있지만, 니콜라 드 스탈 또는 몬드리안의 그림은 모르겠다고 하는 감상자가 있다. 사람들은 동물이나 산이나 사과가 그려져 있다고 하더라도 어디까지나 회화적 언어, 즉 선이나 형태나 색으로 전달받는 데서 기쁨의 의미나 정서가 전달되는 것이다. 그것이 또한 작가의 의도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구체적으로 산이나 사과가 그려져 있지 않은 선이나 색에서 작가가 이야기하려는 이미지나 형태를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음과 음의 조화를 거부하고 음악이 성립할 수 없듯이, 회화의 방법은 선·면·색채를 거부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몬드리안의 그림을 알 수 없다고 하는 것은 그 그림 속에서 회화 이외의 요소와 관련지어 연상하려는 것 때문이다. 그러나 회화는 그 화면 속에 무엇이 그려져 있는가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엇이 그려져 있는가보다는 어떻게 회화의 아름다움을 지키고 있는가가 문제이다. 작품 속에서 무엇을 찾으려 하기보다는 오히려 거기에 무엇을 부여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야 할 것이다. 이미지가 가미되어, 색채나 선만으로 할 수 없는 구성의 세계를 이루는 것이다. <예술과 풍토, 변시지> |
🧭 시군
“듀이는 예술을 ‘이해하기 전에 먼저 경험해야 한다’고 했어요. 작품을 머리로 분석하기보다, 몸과 감각으로 맛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거죠. 그렇다면 미술 감상은 아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에서 출발해야 하는 걸까요?”
🍃 지양
“차를 마실 때처럼, 동양에서는 작품도 천천히 음미하는 감흥을 중요하게 여겨요. 그렇다면 예술 감상도 해설보다 느낌과 여백을 받아들이는 여유가 먼저여야 하는 것 아닐까요?”
🌿 시지의 대답
예술은 설명으로 시작되지 않습니다. 먼저 보고, 느끼고, 반응해야 그 다음에 이해가 따라옵니다.
지식은 해석의 틀이고, 감동은 울림의 시작입니다.
👉 작품을 본다는 건, 맛보는 일입니다—감각과 마음으로 천천히 스며드는 체험.
👥 대상별 조언
🎓 학생에게
“해설지 없이 작품 앞에 서서, 떠오른 감정을 먼저 써보세요. 느낀 후 아는 것이 더 오래 남습니다.”
👥 일반인에게
“작품 앞에서 ‘잘 모르겠다’는 감정도 괜찮아요. 이해보다 울림이 먼저일 수 있어요.”
🖼️ 컬렉터에게
“한 작품 앞에 오래 머물며,눈뿐 아니라 몸과 마음으로 작품의 온도를 느껴보세요. 그것이 진짜 수집의 시작입니다.”
🎨 화가에게
“작업 전에 좋아하는 그림 한 점을 차를 마시며 조용히 바라보세요. 눈, 호흡, 감정이 깨어날 거예요.”
🌀 변시지의 사례
변시지는 “예술은 머리보다 몸으로, 해설보다 여운으로 다가가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그에게 감상은 기억보다 경험, 아는 것보다 맛보는 것이었습니다.